본문 바로가기

지극히 개인적인 영화리뷰

영화 리뷰 - 곡성 [너무나 불친절한 영화]

반응형
SMALL

 추격자, 황해 나홍진 감독의 신작 곡성! 정말 다양한 해석이 등장하는 영화 인 것 같다. 영화 자체보다는 그 결말과 해석에 대한 이야기가 훨씬 더 화제가 되고 있는 듯한 느낌이다. 나름 열린 결말이었고, 영화를 보고난 뒤에 오히려 궁긍즘이 더 많아 지는 영화라서 그런 것 같다.


 사실, 나는 영화를 고를 때, 감독을 기준으로 고르지도 않고 딱히 영화의 감독이 누구인지 알려고 하지도 않는다. 배우와 이야기를 중심으로 영화를 선택한다.(요즘 영화 마케팅에 감독을 너무 많이 내세워서 어쩔 수 없이 알게 되는 경우가 많긴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곡성은 이야기 보다는 감독을 조금더 우선순위에 두고 선택했다.(사실 이 것도 잘 모르겠다. 내용에 대해서는 스포일러가 되니 홍보를 안한 것이고...감독이름을 내세우긴 했지만, 대작이라는 영화 홍보 때문에 본 것 같기도 하다. 주변에서 영화가 잘 나왔다는 이야기를 들은 점도 어느 정도 작용 하기도 했고 말이다.) 


 어쨌든 많은 사람들이 나홍진 감독의 영화를 좋아하고, 나홍진 감독의 연출력을 믿는다. 이번 곡성이라는 영화에서도 뛰어난 연출을 보여 준 것 같다. 영화 얘기로 들어가 보기로 하자. 자세한 얘기보다는 그냥 단편적으로 느꼈던 것들을 두서없이 나열 해보려고 한다.


 오프닝 부터, 한 20여분 까지는...집중을 잘 하지 못했었다. 내가 간 극장의 문제인지 영화자체의 문제인지 잘 모르겠으나, 대사들이 너무 안들렸다. 처음 살인사건이 일어난 현장, 종구(곽도원)와 동료 경찰이 밤에 경찰서에서 이야기를 나눈 씬 등에서는 거의 대사의 반을 못 알아 들었다. 그 후에는 대사가 잘 들린 것으로 보아, 극장의 문제 보다는 배우들이 연기를 하는 과정아니면, 후반에 믹싱하는 과정에서 잘 못 한 것 같은 생각이 든다.(나 혼자 만의 착각 일 수도 있으나, 그렇게 느껴졌다.) 그래서 영화에 집중하는데 처음엔 굉장히 힘들었다. 


 그리고 영화를 보는 내내, 그리고 영화를 다 보고 나서 든 생각은, 굉장히 불친절한 영화라는 것이었다. 열린 결말과 다양한 해석을 할 수 있는 그래서 지금 굉장히 핫한 영화 이지만...나는 너무 아무것도 해결해 주지 않았다는 생각이 계속해서 들었다.


 천우희는 도대체 누구인가, 

 일본인은 왜, 무엇을 위해서 종구네 동네에 와서 사람을들 죽였을까? 

 일광(황정민)은 왜 마을을 벗어나다가 되돌아 왔나.(누가 그를 방해했나)

 

 천우희는 어떻게 일광을 코피 흘리게 하고, 토를 하게 했을 까?. 일광은 사람인데 어떻게 그 많은 양의 구토를 하고도 멀쩡 할까.

 

 일본인과 일광이 서로 살을 날리는 것 처럼 속이는 장면을 보여 주었을 때, 일본인은 왜 다 죽어 갔을 까? 그리고 또 어떻게 다시 회복 했을 까. 천우희는 왜 일본인을 직접적으로 방해 하지 않았을 까?. 


 나홍진 감독은 죽는 사람들이 좀비가 아니라는데 왜 좀비처럼 표현했으며, 종구와 친구들이 죽이는 그 시체? 사람?은 왜 좀비 처럼 잘 죽지도 않는지.


 종구와 친구들은 왜 그렇게 쉽게 사람? 좀비? 에게 폭력을 휘두르는지. 일본인은 왜 그들에게 도망가는지(도망갈 필요가 없는 존재 인 것 같은데...너무 관객들 낚으려고 한 건 아닌지...)


 종구는 산 건인지 죽은 것인지.

 일광과 일본인은 왜 한패 인 것인지

 사람들은 무엇때문에 어떻게 죽은 것인지



 정말 너무 나도 많은 의문점들이 하나도 해결 되지 않았다. 위에 열거하지 못한 궁금증들이 너무나 많다. 그것도 영화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꼭 필요한 요소들임에도 불구하고 답을 주지 않았다. 열린 결말을 넘어서 일을 벌려 놓고 하나도 치우지 않은 듯 한 인상이다. 못 만든 작품이었으면 자칫하면, 욕만 먹을 수도 있는 선택이었던 것 같다.


 하지만 다행이도 곡성은 잘 만든 영화고 재밌는 영화다. 촘촘한 연출력과 강약 조절이 잘된 영화의 템포 등 훌륭한 점이 굉장히 많다. 칭찬하고 싶은 부분이도 많지만, 곡성의 장점에 대한 글들은 워낙 많아서, 이글에서는 생략하겠다.(곡성이 굉장히 불친절한 영화라는 거를 얘기하고 싶어서 쓰는 글이라......)


 위의 불진철함들 때문에 다시 보고 싶은 영화 인 것 같다. 두 번, 세 번 보면서 내가 놓쳤던 부분을 찾아가면서 보면, 해결 할 수 있는 궁금즘도 있을 것 같다.


 논리도 없고, 근거도 없고, 두서도 없는 글을 이만 마쳐야 될 듯 하다.


2016년 5월의 어느날



 


반응형
LIST